About
home
청년들의 시작
home

새로운 삶을 향한 새로운 시선, 자기로부터의 이탈

흔히 중장년층을 이야기할 때 ‘앞만 보고 달려온 세대’라는 표현을 쓴다. 맹목적으로 살아온 지난 날을 되돌아보고 의미를 되새기는 과정에서 인문학이나 철학의 힘을 빌리는 이들이 있다. 최 교수는 단순히 지식의 습득을 넘어서 철학적 사유의 활동 또는 사유의 높이라는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앞만 보고 산 게 아니라 내몰리면서 살았다는 게 더 맞는 것 같아요. 앞을 보고 살면 역사는 진보하고 정방향으로 가죠. 그러나 억압받고, 쫓기며 살아온 거예요. 중장년 입장에서 보면 나는 앞만 보고 살아왔다. 그런데 이제 와서 보니 행복하지 않았다는 거잖아요. 그런 이들에게 인문학을 습득하는 것이 순간적인 위로는 되겠지만 큰 의미는 없다고 봐요. 결국 자신을 직시하고 지금까지 살아온 삶을 전면 수정하는 수밖에 없어요. 자기 상황을 정확하게 알게 하고 자기 행위와 삶의 방향을 과감하게 결정하는 것, 그게 인문학의 역할이죠.
그는 단순히 책을 읽고 지식을 쌓는 것은 ‘생각을 수입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아울러 생각을 수입하는 사람은 생각을 수출하는 사람이 사유한 결과들을 수용하게 되는데, 그러다 보면 어느 순간 스스로 사유하는 힘을 잃게 된다는 우려도 내놓았다.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다른 사람이 발휘한 궁금증과 호기심의 결과를 받아들인다는 거죠. 우리는 자기 눈으로 세상을 보고 그 결과를 통해 자기 세계를 관리하고 통제하는 힘을 키워야 해요.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이든 자기만의 궁금증, 호기심이 작동하게끔 의식하려고 노력해야죠. 인간은 자기 고유의 질문을 통해서만 자신으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일상의 공허함을 채우거나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 인문·철학을 가까이하는 이가 늘고 있다. 누군가는 인문학자의 명강의에 위로를 받기도 하고, 철학자의 한마디를 교훈 삼기도 한다. 그러나 최진석(崔珍晳·58) 서강대 철학과 교수는 “인문·철학은 따뜻한 것이 아닌 냉정한 것, 힐링이 아닌 잔혹한 것”이라 말한다.

지적 모험심, 위험을 감수하는 용기

철학책을 읽고 특별한 깨달음을 얻었더라도 대체로 그 여운이 오래가지 않는다. 철학자, 즉 사유를 수출한 사람의 결과물에 동의하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이 결과물을 생산할 때 사용했던 철학자의 시선의 높이에 동참해보는 과정이 뒤따라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렇게 스스로 사유하며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발견했을 때, 우리는 그것을 지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철학을 공부하는 것은 니체나 칸트처럼 살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철학자가 사유의 결과물을 남길 때 사용했던 바로 그 시선의 높이를 자기 환경에 맞춰 사용해보자는 거죠. 우리에게는 동의나 공감보다는 자기만의 고유한 자발성이 발휘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사람들에게 자발성에 집중하라고 하면 전체 사회와의 조화는 어떻게 하느냐고 묻죠. 그러나 자발성이라는 것은 굉장히 선한 거거든요. 오히려 단일한 이념으로 묶인 전체가 자발성을 방해하면서 폭력을 행사하죠. 자기 내면에서 우러난 자발성들의 연합은 사회를 더 조화롭고 강하게 만들 수 있어요.
가장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쉽게 대답할 수 있는 어른이 얼마나 될까? 어린아이들이 금세 이야기하는 것들을 어른들은 좀처럼 입을 떼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최 교수는 이러한 현상 역시 개인의 자발성이 억압돼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자기 행위나 말이 자신에 의해 그 가치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어떻게 생각할지를 의식하고 그것에 따라 좌우되죠. 자기 시선으로 자신을 평가해야 하는데, 다른 사람의 시선으로 자신을 평가하잖아요. 어떻게 보면 불행이고, 고통이고, 억압이죠. 다른 사람을 통해서 자신을 바라보는 사람은 행복감이 없죠. 그러니 열심히 살아도 즐겁지 않고 고단할 수밖에요. 자발적으로 좋아하는 것을 찾아서 자기 욕망을 실현하는 단계의 삶을 사는 사람들은 늘 생기발랄하고 능동적이죠. 자기가 자기로 존재하는 사람, 그래서 자기만의 눈으로 세계를 볼 수 있는 사람, 그런 사람이 창의적인 결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해요.”
자발성을 발휘하는 것이 개인과 사회에 유익하지만,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 데 익숙한 사람에겐 어렵고 불편하다. 최 교수는 이러한 생소함과 낯섦이 곧 희망이라고 강조했다. 새로운 것은 항상 그 막연함 속에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자기만의 고유함을 발휘한다는 것은 항상 모험이 필요해요. 창의적인 삶의 결과들은 다 모험의 산물입니다. 안전하지 않지만 행복한 길이고 자유로운 길이죠. 평범하게 살면서 특별한 삶을 바랄 수는 없어요. 우리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삶을 기대하면서 같은 방법으로 살아가려 해요. 안전하니까, 아니 안전해 보이니까. 다른 결과를 바란다면 방법도 달라져야 하죠. 간단한 이치이지만 왜 어렵냐. 그건 모험심이 약하기 때문이에요. 그건 왜 약하냐. 자기 꿈에 대한 진실성이 약하기 때문이죠. 자기 꿈이 자신에게 진실한 것이라면 사람들은 어떠한 위험도 감수하게 돼 있어요.

불가능하면 ‘꿈’, 가능하면 ‘좋은 계획’

‘이 나이에 이제 와서 꿈을 꾼다고 뭐가 달라지겠는가?’ 이렇게 생각을 하는 사람이라면 최 교수는 “그냥 그렇게 사는 게 낫다”고 조언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와는 다른 삶을 원한다면 전면적으로 새로운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불가능한 기운이 강할수록 진정한 꿈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정말 꿈이라면, 견적이 제대로 나오고 합리적으로 바로 계산이 될 수 없어요. 만약 실현 가능성이 보인다면, 그건 그냥 좋은 계획일 뿐이죠. 꿈이라는 것은 대개 불가능해 보여요. 왜냐면 꿈은 이 영토에 있던 사람이 저 영토로 가보려고 시도하는 거거든요. 이 영토는 나에게 익숙하고, 이곳을 해석하는 문법은 나에게 아주 잘 준비돼 있죠. 그러나 건너가려고 하는 저 영토는 아직 문법이 형성돼 있지 않죠. 그런데 우리는 어떤 일을 할 때 저 영토에서 일어날 일임에도 나에게 익숙한 이 영토의 문법으로 해석하려 들어요. 그럼 꿈이 아니죠. 그냥 이 영토에 머물러 있는 거예요.”
꿈을 꾼다는 것은 아직 알려지지 않은 낯선 곳으로 간다는 것. 단지 명료하게 해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과대하게 위험한 존재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는데, 사람들은 이를 ‘리스크’라고 여기게 된다. 그 두려움을 극복한 사람들은 행복하고 독립적으로 살아가는데, 지나고 보면 이 리스크 역시 별것 아닌 경우가 많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옛날에 원숭이를 잡는 방법 중 하나가 호리병에 사탕 세 알을 넣는 거예요. 원숭이가 호리병 안에 사탕을 꺼내려고 손을 넣어요. 그럼 사탕을 잡아 주먹이 쥐어지니까 손이 안 빠지고, 그러다 결국 사람들에게 잡히고 말죠. 원숭이가 잡힌 건 결국 사탕 세 알 때문이에요. 그때 원숭이에게는 사탕 세 알이 얼마나 달콤하고 크고 좋은 것으로 보였겠어요. 그 사탕 세 알만 놓으면 자유로운 몸인데, 그 손을 놓지 못하죠. 지금 가진 것이 위대하고 커 보이면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없어요. 내 꿈이 지금 가진 모든 것보다 커 보일 때, 그럴 때 비로소 과감한 시도가 가능해지죠. 이것도 저것도 다 가질 수는 없어요. 새로운 삶은 전면적인 부정 없이는 불가능해요.”

더 나은 세상을 위한 꿈을 꾸다

꿈이 없는 삶은 빈껍데기와 같다는 최 교수. 그는 ‘나는 지금 어떤 꿈을 꾸고 있는가?’, ‘나의 삶이 내 꿈을 실현하는 과정인가, 아니면 해야 하는 일들을 그저 처리하는 과정인가?’를 인식하고 자문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같은 질문에 그는 무엇이라 답할까?
“내 꿈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인지를 늘 인식하려고 하죠. 급한 일보다는 중요한 일에 무게를 두는 편이에요. 그게 이익이라는 것을 아니까요. 개인적으로 평생 가져야 할 꿈은 어떤 깨달음에 도달해보는 거고요. 최근에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사유 수준을 끌어올려 보겠다는 사명감이 생겼어요. 그러지 않으면 우리는 딱 여기까지만 살다 갈 수밖에 없거든요. 더 나은 미래가 보장이 안 돼요. 인문적인, 철학적인, 탁월한 높이의 시선을 가져보자. 그러면 더 나은 세상이 열린다. 그런 이야기를 많이 하고 설득하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