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home
청년들의 시작
home

250623 청년미라클

1.
AI의 물결, 거스를 것인가 올라탈 것인가 (화자1 = 박사님) • AI는 이미 일상이 되었고, 앞으로 더 강력한 파도를 몰고 올 것임. • 예측은 불가능하나, 쓰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얼마나 잘 쓸 것인가”*의 문제임. • 잘못되면 돌아오면 되며, 경험은 ‘레슨비’일 뿐이니 *“가보자, 부딪쳐 보자”*는 실행 기반의 낙관론을 제시. • 메타의 LLaMA 모델, OpenAI API 활용 등 구체적 실험도 소개함. • 핵심 메시지: “극단적으로 잘 쓰는 사람이 되겠다.”
2.
참여자별 생각 정리 • 앤디 • AI 흐름이 무섭게 빠르며, 이 흐름을 놓치면 신문 조판 노동자처럼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는 위기감 표출. • 휴머노이드의 등장이 신기하면서도 두려움을 느낀다고 언급. • 하지만 “무조건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방향성 확립. • 용춘 • 본업(건축)이 AI와 거리가 있다고 느꼈지만, 최근 AI 도전에 의욕을 갖기 시작함. • 렌더링, 디자인 보조 등에서 AI 활용이 이미 이루어지고 있음을 인정. • “지금이 바로 배워야 할 때”라며 적극적 태도로 전환 중. • 잡스 • AI가 직업을 대체할 것이라는 공포보다는 *“직업은 업무의 집합체”*로서 일부만 대체된다고 해석. • AI와 인간은 상호작용하며 상호 발전 가능. • AI는 도구이며, 사용법을 익히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임을 강조. • 독퍼 • “나도 이제는 잘 써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 아침. • 기술적 어려움보다 ‘관심의 문제’임을 느끼며, 자신도 할 수 있다는 낙관적 태도. • 카스 • 질문자이자 실제 GPT 활용 실전가로서, AI를 깊이 실험하고 있음. • “잘 쓰는 사람이 바보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창의력이 폭발할 수 있다”고 주장. • GPT를 통해 상담 기록 분석, 감정 추론, 비즈니스 인사이트 도출 등 실무에 접목하고 있음. • “무조건 실행해 보며 나만의 방식으로 최적화하라”는 메시지 제시.
핵심 인사이트 5가지 1. AI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 조건이다. 2. 잘못된 판단보다 더 나쁜 것은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이다. 3. 레슨비라 생각하고, 실패해도 배우면 된다. 4. AI를 써도 바보 되지 않는다. 오히려 더 창의적으로 사고하게 된다. 5. 각자의 전문 영역에 AI를 접목시키려는 ‘의지’가 중요하다.
인용하고 싶은 한마디
“파도가 치면 파도에 올라타고, 바람이 불면 바람을 이용한다. 그다음은? 그때 가서 생각한다.”